본문 바로가기
건강동의보감

임산부 필수 영양소 엽산의 효능과 결핍 증상

by 아기고양이 마을집사 2024. 2. 21.
반응형

엽산(잎산, flolate, folacin, 폴산, folic acid)은 비타민B9 또는 비타민 M이라고도 불리며, 아미노산과 핵산 대사에 필요한 효소를 도와주는 역할을 하며, DNA합성에 꼭 필요합니다. 또, 태아의 신경과 혈관 발달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비타민으로 임산부에게 중요한 영양소입니다. 그럼 엽산의 주요한 효능과 결핍 증상에 대해서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임산부
임산부

 

엽산의 주요 효능

  • 세포 분열과 성장 지원
  • 임신 중 신경관 손상(뉴럴 튜브 결함)예방
  • 심장 질환 위험 감소
  • 인지 기능 및 기분 향상
  • 빈혈 예방

1. 세포 분열과 성장 지원

엽산은 DNA 합성과 수리를 위한 기초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 프로세스는 특히 임신 중인 여성에게 중요하며 태아의 신경관(뉴럴 튜브) 형성을 촉진하고 성장을 도와줍니다. 또한 적혈구, 백혈구의 형성을 돕고 건강한 골수 형성에 기여합니다.

 

2. 임신 중 신경관 결손 예방

엽산의 가장 잘 알려진 이점 중 하나는 태아의 신경관 손상(뉴럴 튜브 결함)을 예방하는 역할입니다. 임신을 계획하거나 임신 초기 단계에 있는 여성에게 강력히 권장됩니다. 적절한 엽산 섭취는 태아의 뇌와 척수의 심각한 결함 발생 위험을 크게 줄입니다.

 

3. 심장 질환 위험 감소

엽산은 혈중 호모시스테인 수준을 낮추는 데 도움을 줍니다. 호모시스테인의 양이 늘어나면, 심장 질환 및 뇌졸중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수준을 조절함으로써 엽산은 심혈관 건강을 촉진하고 심장 관련 합병증의 가능성을 줄입니다.

 

4. 인지 기능 및 정서 안정

엽산은 신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적 건강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인지 기능과 감정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엽산 수준이 낮아지면 인지 기능 저하와 우울증과 같은 정서장애의 발병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5. 빈혈 예방

엽산은 산소를 온몸에 운반하는 적혈구를 생성하는 데 기여합니다. 충분한 적혈구의 공급은 (피로, 무기력함 및 창백한 피부의 증상을 나타내는) 빈혈을 예방합니다.

 

아기-신발
아기-신발

 

엽산 일일권장 섭취량

한국인의 1일 엽산 섭취기준(1일 권장량)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보건복지부)

성별 연령 엽산(μg DFE/)1)
평균필요량 권장섭취량 충분섭취량 상한섭취량2)


영아
0-5(개월)     65  
6-11     90  


유아
1-2() 120 150   300
3-5 150 180   400








남자
6-8() 180 220   500
9-11 250 300   600
12-14 300 360   800
15-18 330 400   900
19-29 320 400   1,000
30-49 320 400   1,000
50-64 320 400   1,000
65-74 320 400   1,000
75 이상 320 400   1,000








여자
6-8() 180 220   500
9-11 250 300   600
12-14 300 360   800
15-18 330 400   900
19-29 320 400   1,000
30-49 320 400   1,000
50-64 320 400   1,000
65-74 320 400   1,000
75 이상 320 400   1,000
임신부 +200 +220   1,000
수유부 +130 +150   1,000

 

임산부-소녀

엽산 결핍 증상

엽산 결핍 증상은 엽산의 주요 효과와 관련이 있으며, 보통 비타민 B12(코발라민) 결핍과 함께 나타납니다. 비타민B12는 엽산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수용체 역할을 합니다.

  • 거대적아구성 빈혈
  • 신경관 결손
  • 이분척추

1. 대적혈구성 빈혈

미성숙한 적혈구가 크기만 거대해지고 산소 결합 능력이 약해져 발생하는 빈혈입니다. 엽산은 DNA합성에 꼭 필요한 영양소이기 때문에 엽산이 부족한 경우 적혈구에 이상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2. 신경관 결손

태아의 형성 과정에서 태아의 척수 혹은 뇌가 제대로 붙지 못하여, 척수나 뇌의 질환을 초래하는 선천적 기형을 의미합니다. 신경관 결손의 종류에는 이분척추, 무뇌증, 뇌탈출증 등이 있습니다.

 

3. 이분척추

태아 발달기에 신경관 결손의 주요 증상으로 등뼈의 뒤쪽 뼈가 서로 붙지 않고 벌어지는 선천성 척추 결함을 의미합니다.

 

아기-책

엽산이 풍부한 식품 (급원 식품)

엽산이 풍부한 식품은 효모, 녹차잎, 마름, 잠두, 유채잎, 미역, 타라곤과 같은 식품이 엽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식탁에는 자주 오르지 않는 식품입니다.

 

1. 엽산 주요 급원식품(100g 당 함량)

한국인이 일상생활에서 엽산을 섭취하는 주요 식품 순위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보건복지부)

급원식품
순위
급원식품 함량
(μg DFE/100 g)
급원식품
순위
급원식품 함량
(μg DFE/100 g)
1 대두 755 16 소 부산물() 253
2 달걀 81 17 현미 49
3 시금치 272 18 346
4 백미 12 19 들깻잎 150
5 총각김치 257 20 26
6 배추김치 15 21 애호박 33
7 파 김치 449 22 양파 11
8 오이 소박이 584 23 옥수수 88
9 돼지 부산물() 163 24 딸기 54
10 35 25 11
11 고구마 43 26 배추 43
12 상추 84 27 가당음료 22
13 된장 139 28 과일음료 10
14 마늘 125 29 맥주 4
15 두부 21 30 콩나물 28

 

2. 엽산 고함량 식품(100g 당 함량)

엽산을 풍부하게 섭취하고 있는 식품 순위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분(보건복지부)

함량 순위 식품 함량
(μg DFE/100 g)
함량 순위 식품 함량
(μg DFE/100 g)
1 팽창제, 효모, 말린것 3800 16 총각 김치 257
2 녹차잎, 말린것 1277 17 부산물, , 삶은것 253
3 (대두), 흑태, 말린것 755 18 조미료 247
4 거위 부산물, , 생것 738 19 오레가노, 말린것 237
5 오이 소박이 584 20 모시풀잎, 생것 237
6 닭 부산물, , 삶은것 578 21 목화씨, 구운것 233
7 파 김치 449 22 연씨, 생것 230
8 마름, 생것 430 23 청국장, 찌개용 227
9 잠두, 생것 423 24 춘장 221
10 , 구운것 346 25 호박잎, 생것 212
11 유채잎, 생것 299 26 병아리콩, 말린것 201
12 미역, 말린것 283 27 배초향잎, 생것 195
13 타라곤, 말린것 274 28 보리, 엿기름, 말린것 194
14 시금치, 생것 272 29 , 말린것 190
15 모링가(드럼스틱), 생것 266 30 가시오갈피순, 생것 183

 

임산부-소녀

끝으로

엽산은 태아의 성장에 필수적인 영양소로 임산부들에게 매우 중요합니다. 엽산의 결핍은 태아 여러 가지 선천성 기형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임신 중, 수유기에는 권장량을 준수하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