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토텐산이란?
판토텐산, 비타민 B5로도 불리는 이 영양소는 인체의 다양한 생리학적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에너지 대사부터 피부 건강까지, 이 비타민은 전반적인 신진대사에 필수적입니다. 비타민B 복합체의 하나인 판토텐산은 수용성 비타민으로 신체에 축적되지 않고 소변을 통해 배출됩니다.
코엔자임 A의 합성에 필수적이며, 여러 효소들의 활동에 보조적 역할을 합니다. 육류, 유제품, 채소 등 다양한 음식에 함유되어 있습니다.
판토텐산 효과, 역할
Coenzyme A(CoA) 코엔자임 A의 합성에 필수적이며,수용성 비타민으로, 우리 몸의 에너지 대사, 호르몬 생성, 콜레스테롤 대사, 피부 건강 등 다양한 기능에 관여합니다.여러 효소들의 활동에 보조적 역할을 합니다. 육류, 유제품, 채소 등 다양한 음식에 함유되어 있습니다.
1. 피부 건강
피부의 수분을 유지시키고 엽증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줍니다. 피부 세포의 형성과 유지에 관여하여 피부 건강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2. 여드름 치료
여드름 치료에도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10~30대 남녀 10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판토텐산을하루 10g씩 4번으로 나누어 복용하였더니 여드름이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피지 분지가 감소하고 여드름 자국도 치료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3. 에너지 대사
판토텐산은 아데노신 트리포스페이트(ATP)의 합성에 필수적인 성분으로, 에너지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4. 간 건강
간의 해독 작용에 필요한 코엔자임 A를 합성하여 간 건강과 해독 작용에 도움을 줍니다.
5. 면역 시스템 강화
면역 세포의 활동을 촉진하여 감염 및 질병에 대한 저항력 강화을 강화시켜 줍니다.
6. 호르몬 합성
판토텐산은 부신피질 호르몬, 성호르몬, 인슐린 등 다양한 호르몬의 합성에 관여합니다.
7. 콜레스테롤 수치 완화
판토텐산은 콜레스테롤의 합성과 대사에 관여하여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조절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결핍 증상
판토텐산은 신체의 여러 가지 활동에 관여하며 결핍시 피로감, 피부 트러블, 소화 불량, 두통, 우울증도 여러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1. 피로감
판토텐산 결핍은 ATP(아디노신 삼인산) 생산에 영향을 미치므로, 에너지 부족으로 피로와 기력 감소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피부 이상
판토텐산은 피부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결핍 시 피부는 건조하고 가렵거나 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소화계 문제
소화계에 영향을 주어 소화 불량, 설사, 구토 등의 소화계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4. 면역 기능 저하
판토텐산은 면역 세포의 활동을 지원하는데, 결핍 시 면역 기능이 저하되어 감염에 더 취약해질 수 있습니다.
5. 신경계 문제
신경계 기능에 영향을 주어 두통, 신경통, 우울감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과다 섭취
판토텐산은 수용성 비타민으로 과다 섭취한 경우 대부분은 소변과 함께 배출 되므로 과다 섭취에 따른 증상은 거의 나타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 알러지가 있는 경우나 이상 증상 발생시에는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판토텐산 1일 권장량
판토텐산 일일 권장량, 하루 권장량, 권장 섭취량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 기준 (보건복지부)
성별 | 연령 | 판토텐산(mg/일) | |||
평균필요량 | 권장섭취량 | 충분섭취량 | 상한섭취량 | ||
영아 | 0-5(개월) | 1.7 | |||
6-11 | 1.9 | ||||
유아 | 1-2(세) | 2 | |||
3-5 | 2 | ||||
남자 |
6-8(세) | 3 | |||
9-11 | 4 | ||||
12-14 | 5 | ||||
15-18 | 5 | ||||
19-29 | 5 | ||||
30-49 | 5 | ||||
50-64 | 5 | ||||
65-74 | 5 | ||||
75 이상 | 5 | ||||
여자 |
6-8(세) | 3 | |||
9-11 | 4 | ||||
12-14 | 5 | ||||
15-18 | 5 | ||||
19-29 | 5 | ||||
30-49 | 5 | ||||
50-64 | 5 | ||||
65-74 | 5 | ||||
75 이상 | 5 | ||||
임신부 | +1.0 | ||||
수유부 | +2.0 |
판토텐산이 풍부한 급원 식품
한국인의 판토텐산 부족 현상
판토텐산은 몸에서 합성 가능한 비타민입니다. 섬유소가 풍부한 채소나 과일을 섭취하면 장 속의 미생물들이 판토텐산을 합성합니다. 하지만 도정류 곡물과 백미 육류 위주의 식사로 섬유소가 부족하여 판토텐산 합성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또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연령대에서 섭취량이 권장량에 비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미국, 일본등 여러 국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판토텐산의 체내 평균 흡수율은 50 ~70%인 것으로 보고 되었습니다.
주요 급원 식품 (100g당 함량)
일상 생활에서 판토텐산을 섭취하는 주요 식품, 음식
청소년, 성인의 일일 권장량은 5mg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 기준 (보건복지부)
급원식품 순위 |
급원식품 | 함량 (mg/100 g) |
급원식품 순위 |
급원식품 | 함량 (mg/100 g) |
|
1 | 백미 | 0.66 | 16 | 청국장 | 11.50 | |
2 | 맥주 | 0.89 | 17 | 콩나물 | 0.78 | |
3 | 배추김치 | 0.83 | 18 | 열무김치 | 0.92 | |
4 | 돼지고기(살코기) | 0.86 | 19 | 수박 | 0.54 | |
5 | 소고기(살코기) | 1.63 | 20 | 오징어 | 1.13 | |
6 | 닭고기 | 0.80 | 21 | 오이 | 0.34 | |
7 | 달걀 | 0.91 | 22 | 애호박 | 0.52 | |
8 | 우유 | 0.30 | 23 | 넙치(광어) | 2.59 | |
9 | 돼지 부산물(간) | 4.77 | 24 | 양배추 | 0.49 | |
10 | 소 부산물(간) | 7.11 | 25 | 간장 | 0.59 | |
11 | 시금치 | 1.53 | 26 | 고구마 | 0.31 | |
12 | 과일음료 | 0.37 | 27 | 토마토 | 0.30 | |
13 | 파 | 0.84 | 28 | 된장 | 1.11 | |
14 | 콜라 | 0.32 | 29 | 오리고기 | 1.84 | |
15 | 참외 | 0.82 | 30 | 메밀 국수 | 0.65 |
판토텐산 고함량 식품
판토텐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식품 순위, 음식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 기준 (보건복지부)
함량 순위 | 식품 | 함량 (mg/100 g) | 함량 순위 | 식품 | 함량 (mg/100 g) | |
1 | 산초, 가루 | 15.33 | 16 | 두릅, 생것 | 2.46 | |
2 | 청국장, 찌개용 | 11.50 | 17 | 게, 생것 | 2.01 | |
3 | 영지버섯, 말린것 | 8.36 | 18 | 거위고기, 살코기, 생것 | 1.97 | |
4 | 소 부산물, 간, 삶은것 | 7.11 | 19 | 조, 생것 | 1.91 | |
5 | 닭 부산물, 간, 삶은것 | 6.67 | 20 | 메추리고기, 생것 | 1.85 | |
6 | 거위 부산물, 간, 생것 | 6.18 | 21 | 오리고기, 생것 | 1.84 | |
7 | 팽창제, 효모, 말린것 | 5.73 | 22 | 가죽나물, 생것 | 1.70 | |
8 | 돼지 부산물, 간, 삶은것 | 4.77 | 23 | 해바라기씨, 볶은것 | 1.66 | |
9 | 느티만가닥버섯, 생것 | 3.82 | 24 | 아보카도, 생것 | 1.65 | |
10 | 나토 | 3.60 | 25 | 방울다다기양배추, 생것 | 1.64 | |
11 | 분유, 전지 | 3.50 | 26 | 소고기, 살코기, 생것 | 1.63 | |
12 | 땅콩 버터 | 2.63 | 27 | 유자, 생것 | 1.62 | |
13 | 넙치(광어), 생것 | 2.59 | 28 | 팽이버섯, 생것 | 1.59 | |
14 | 느타리버섯, 생것 | 2.57 | 29 | 보리, 엿기름, 말린것 | 1.56 | |
15 | 조미료 | 2.49 | 30 | 시금치, 생것 | 1.53 |
결론적으로,
여드름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판토텐산은 장내 미생물에 의해 합성되지만, 현대인의 식습관 변화로 섬유소가 부족하여 합성량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한국인의 대부분의 연령대에서 일일권장량에 모자라는 섭취량을 보이고 있으므로 채소나 과일 섭취로 섬유소 섭취를 늘리거나 판토텐산의 급원 식품을 통해 보충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동의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산부 필수 영양소 엽산의 효능과 결핍 증상 (7) | 2024.02.21 |
---|---|
다이어트와 사과식초 먹는법, 효능, 부작용? 애사비, 애플사이다비니거 (1) | 2024.02.21 |
탈모 예방 비오틴 효과와 부작용, 1일권장량, 풍부한 급원 식품, 음식 (0) | 2024.01.18 |
농림부 발표, 소 럼피스킨병 바로알기(증상, 전파경로) (15) | 2023.10.24 |
번아웃, 직장인 자살 위험 77% 높인다. (10) | 2023.10.19 |
댓글